반복영역 건너뛰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제품/서비스
EMS Solution
Features
클라우드 관리
AI 인공지능
서버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네트워크 관리
트래픽 관리
설비 IoT 관리
무선 AP 관리
교환기 관리
운영자동화
실시간 관리
백업 관리
APM Solution
애플리케이션 관리
URL 관리
ITSM Solution
서비스데스크
IT 서비스 관리
Big Data Solution
SIEM
Dashboard
대시보드
Consulting Service
컨설팅 서비스
고객
레퍼런스
고객FAQ
문의하기
가격
자료실
카탈로그
사용자매뉴얼
회사소개
비전·미션
연혁
2016~현재
2000~2015
인증서·수상
투자정보
재무정보
전자공고
IR자료
새소식
공고
보도자료
오시는 길
채용
피플
컬처
공고
FAQ
블로그
열기
메인 페이지로 이동
블로그
최신이야기
블로그
최신이야기
사람이야기
회사이야기
기술이야기
다양한이야기
최신이야기
검색
회사이야기
브레인즈컴퍼니 신년회, 힘차게 2025년을 시작하다.
회사이야기
브레인즈컴퍼니 신년회, 힘차게 2025년을 시작하다.
브레인즈컴퍼니의 모든 구성원이 모여 2024년을 돌아보고, 2025년의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는 신년회가 지난 2일 진행됐습니다. 각 본부별 회고 및 계획 발표, CEO의 총평, 장기근속자 및 우수 구성원 시상과 승진자 발표 순으로 진행된 '2025년 신년회'를 지금부터 자세히 돌아보겠습니다. 각 본부별 발표의 시간 전략사업본부 서은숙 님의 발표로 2025년 신년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은숙 님은 2024년을 돌아보며 "지난해는 Zenius EMS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경쟁력에 Zenius K8s, AI가 더해지면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특히 신규 고객사가 꾸준히 늘어남과 동시에 기존 고객의 증설도 증가하고 있는 점, 그리고 SIEM과 ITSM의 매출도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고무적인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은숙 님은 이어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고, 공공 부문에서 안정적인 인프라 관리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고 있는 Zenius의 우수한 역량을 더욱 적극적으로 알리며 또 다른 성과를 만들수 있도록 멈추지 않고 노력하겠다"면서 올해의 다짐을 전했습니다. 이어서 마케팅/홍보을 담당하고 있는 차정환 님의 발표가 진행됐습니다. 정환 님은 "지난해에 K-ICT Week와 같은 전시회에서 Zenius에 대한 시장에서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도 브레인즈컴퍼니와 Zenius의 가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온/오프라인 활동이 진행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겠다."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어진 발표에서 품질증팀의 장규은 님은, "지난해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점점 더 Zenius의 성능이 안정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는 신규 모듈 점검에 중점을 두고, 대외 공신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인증 획득 활동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주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지원도 활발히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전략사업본부 발표에 이어서 연구개발본부의 김자환 님의 발표가 진행됐습니다. 자환 님은, "2024년에는 클라우드, K8s, NPM 등의 모듈 및 Zenius APM 기능 고도화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이 진행됐다. Zenius가 지속해서 시장에서의 우위를 유지하고 경력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인적 투자를 확대하고 새로운 버전의 Zenius 개발을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후 개발2그룹 김상래 님의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상래 님은, "24년에는 Zenius AI 개발과 Zenius SIEM의 UI개선 및 사용자 대시보드를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올해에도 Zenius SIEM과 Zenius AI의 기능을 안정화하고 고도화하여 고객들에게 더욱 향상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마지막 순서의 발표를 맡은 경영지원실 심현보 님은, "2024년에는 패밀리데이, 가을 문화 행사, 해외연수단 파견 등 의미 있고 다채로운 행사들도 진행됐다. 올해에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회사 운영을 위한 노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특별히 이번 창립기념일에는 모든 구성원이 크게 만족할 수 있는 특별한 이벤트도 준비되어 있다"고 발표하며 기대를 높였습니다. 총평의 시간 각 본부별 발표 후 브레인즈컴퍼니의 운영을 총괄하고 있는 심재걸 님의 총평이 진행됐습니다. 재걸 님은 우선 2024년을 돌아보며, "모든 구성원의 노력이 더해져서 연초에 세웠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행정데이터통합사업 등 대규모 사업에 Zenius가 활용되고, Zenius AI, NPM, K8s, CMS를 통해 Zenius의 경쟁력이 강화된 것이 긍정적인 부분이다. 또한 SIEM과 ITSM도 시장에서 꾸준히 좋은 반응을 얻고 있고 원주사무소 개설을 통해 더 원활하게 고객지원을 할 수 있게 된 부분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재걸 님은 2025년을 전망하면서, "공공 분야를 중심으로 AI와 클라우드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이제 발 맞춰 Zenius의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알리면 올해에도 의미 있는 성과를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다함께 계속해서 한 방향을 바라보면서 힘을 합치자"며 총평을 마무리했습니다. 장기근속자 및 우수직원 시상, 승진자 발표의 시간 재걸 님의 총평에 이어서 장기근속자 및 우수직원 시상 및 승진자 발표가 진행됐습니다. 먼저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브레인즈컴퍼니에서 최선을 다해주신 장기 근속자에 대한 시상이 진행됐습니다. 올해는 20년 근속 포상, 15년 근속 포상, 10년 근속 포상, 5년 근속 포상이 수여됐습니다. 20년 근속 포상을 받은 연구개발본부 김기상 님은, "그 동안의 일들을 돌아보니 좋았던 일들이 참 많았던 것 같다. 무엇보다 좋은 동료들과 함꼐하고 있는 점이 가장 감사하다. 이번 신년회를 계기로 새로운 목표를 세우고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또한 지난해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최우수부서와 우수직원, 그리고 협력 과정에서 돋보이는 공헌을 한 직원에 대한 시상이 이어졌습니다. 우수 부서로 선정된 개발2그룹에는 100만원의 포상이, 우수 직원으로 선정된 전략사업본부 이승현 님에게는 50만원의 포상이 수여됐습니다. 이어서 협력 우수직원에게는 각 30만원의 포상이 수여됐습니다. 우수 직원과 협력 우수직원 모두에 선정된 전략사업본부 이승현 님은, "연초부터 큰 상을 받게 되어서 기쁘고 감사하게 생각한다. 다른 구성원분들이 잘 도와주셨기에 이 상을 받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 상의 더욱 큰 의미 있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올해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남겼습니다. 마지막으로 승진자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올해 진급하신 모든 구성원 분들께 다시 한번 축하의 말을 전합니다. 이어서 단체사진 촬영을 통해 한 해의 시작을 기념한 뒤, 저녁 식사를 나누며 신년회를 마무리 했습니다. 브레인즈컴퍼니는 모든 구성원이 협력하여 보다 나은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2025년에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5.01.06
기술이야기
DB 관리 툴, Zenius DBMS의 주요기능과 특장점
기술이야기
DB 관리 툴, Zenius DBMS의 주요기능과 특장점
대다수의 기업들이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모두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관계형 데이트베이스 관리 시스템)와 NoSQL(Not Only SQL,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을 함께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시스템 간의 구조적 차이로 인해 데이터 동기화, 쿼리 최적화, 리소스 과다 사용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실시간으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장애를 예측하는 작업은 생각보다 까다롭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합니다. 이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양한 DBMS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면서 잠재적인 문제를 사전에 식별할 수 있는 체계적인 DBMS 모니터링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Zenius DBMS는 RDBMS와 NoSQL을 포함한 여러 이기종 데이터베이스를 한 플랫폼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솔루션으로, 성능 저하나 장애 발생 시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게 해줍니다. DB 관리 툴, Zenius DBMS가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과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DB 관리 툴, Zenius DBMS 주요 기능 세 가지 1. 이기종 DBMS 통합 모니터링 다양한 DBMS(Oracle, MySQL, MongoDB 등)를 사용하는 기업 환경에서 각 데이터베이스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게 만듭니다. 관리자는 각 DBMS의 상태를 따로 점검하고 문제 발생 시 여러 시스템을 오가며 원인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장애 대응 속도 또한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Zenius DBMS는 Oracle, MongoDB, Tibero 등 국내외 주요 벤더사의 주요 DBMS를 포함해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통합 기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장애 대응 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습니다. 2. DBMS 별 상세 성능 모니터링과 특화 View DB관리 툴, Zenius DBMS는 RDBMS와 NoSQL 환경 모두에서 성능, 세션, 저장장치 상태를 깊이 분석할 수 있는 상세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관리 화면이 각 DBMS의 고유 특성을 반영하지 못할 경우, 중요한 정보를 놓치거나 문제 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Zenius DBMS는 DBMS별로 최적화된 상세 정보 UI를 지원하여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관리 환경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Oracle 환경에서는 테이블스페이스 사용량과 글로벌 캐시(Global Cache) 상태를, MySQL은 세션과 메모리 사용량을, MongoDB와 Redis는 데이터베이스 상태와 세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Zenius DBMS는 데이터베이스별 특성을 반영한 화면 구성을 통해 관리자는 각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지표를 빠르게 파악하고,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특히 Oracle RAC(Real Application Cluster) 환경은 다수의 서버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며 작업을 분산 처리하는 특성상 데이터 동기화와 자원 관리의 복잡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복잡성이 높은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Zenius DBMS는 글로벌 캐시(Global Cache), I/O, 잠금(Lock)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클러스터 인스턴스를 체계적으로 매핑하여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클러스터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목 현상이나 동기화 문제를 조치할 수 있게 하며, 장애로 인한 데이터 손실 위험을 줄이고, 운영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장애 관리 및 감시 설정 장애 관리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게 가장 큰 부담 중 하나입니다. 느린 쿼리나 세션 과부하로 인해 발생한 성능 저하가 즉시 해결되지 않으면, 서비스 중단이나 데이터 손실로 이어질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Zenius DBMS는 데이터베이스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느린 쿼리, 세션 과부하, Lock 문제와 같은 주요 장애를 설정된 임계 값에 따라 자동으로 감지하며,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게 도움을 줍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저장공간이 부족하면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Zenius DBMS는 테이블스페이스 사용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저장공간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미리 예방합니다. DB 관리 툴, Zenius DBMS가 가진 특별한 장점은?!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서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전달, 자원 관리, 성능, 안정성, 보안 등 여러 측면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트래픽 과부하로 서버 응답 시간이 지연되면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속도가 감소할 수 있고, 반대로 데이터베이스의 과도한 쿼리는 네트워크와 서버 자원을 과도하게 소모하여 전체 시스템 성능에 병목 현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우드 도입이 가속화되고, 가상머신(VM)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IT 인프라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의존성과 복잡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DBMS 관리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네트워크와 서버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데이터베이스 간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워 근본적인 장애 원인 분석과 대응에 한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운영 효율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장애 대응 시간 증가로 인해 비즈니스 연속성에도 큰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Zenius DBMS는 Framework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연관된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등의 모든 IT 인프라를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영자는 Zenius DBM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성능 병목 현상을 신속히 식별하고, 장애 발생 시 근본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며, 서버와 네트워크를 포함한 IT 인프라 전체의 성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살펴본 것처럼 RDBMS와 NoSQL을 혼합해 사용하는 기업 환경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DBMS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솔루션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춰 Zenius DBMS는 이기종 DBMS를 한 화면에서 통합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반영한 최적화된 뷰를 통해 주요 성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타 솔루션과 비교하여 Zenius DBMS의 큰 장점 중 하나는 IT 인프라 전반을 통합해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 데이터베이스 간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복합적인 장애의 원인을 신속히 분석하고 문제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제 Zenius DBMS를 활용해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경험해 보시길 바랍니다!
2024.12.31
기술이야기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 Zenius NMS 자세히 보기
기술이야기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 Zenius NMS 자세히 보기
최근 네트워크 환경은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과 활용 확대, IoT 디바이스의 증가, 그리고 5G와 같은 고속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단순히 네트워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수준을 넘어,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장애 관리, 트래픽 분석, 보안 위협 탐지 및 대응과 같은 고도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Zenius NMS는 네트워크 전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고도화된 실시간 모니터링과 장애 예측 분석 기능을 제공하며 많은 기관과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Zenius NMS의 주요 특징과 장점은 무엇인지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 Zenius NMS의 주요기능 [1] 직관적인 통합 모니터링 Zenius NMS는 네트워크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과 시각화 도구를 제공합니다. Topology Map 기능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가시화하여 전체 네트워크 구조와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장애 및 트래픽 상태를 색상과 점멸 효과로 표시해 문제 발생 지점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다수의 Topology Map을 멀티 슬라이드 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 상태를 직관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복잡한 연결 관계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Auto Map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장비 간 연관 관계를 즉시 시각화하여 관리 작업의 자동화와 운영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와 함께, 관심 인터페이스 그룹 모니터링 기능은 설정된 주요 인터페이스 그룹의 성능 추이를 비교 분석하여 특정 네트워크 구간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지원합니다. 마지막으로, 통합 대시보드는 주요 성능 지표와 네트워크 상태를 하나의 화면에서 제공하며, 일/주/월 단위 성능 추이 그래프로 장기적인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은 운영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뒷받침합니다. [2] 실시간 장애 관리와 예방 지원 Zenius NMS는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실시간 장애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과거 성능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적 임계치를 설정함으로써 장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하고 선제적인 조치를 가능하게 합니다. 장애 발생 시 Root Cause 분석을 활용해 주요 원인을 빠르게 식별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네트워크 장비 간 관계를 분석하여 비효율적인 이벤트를 필터링함으로써 문제 분석의 정확성과 속도를 높입니다. 또한, 장애 처리 이력을 관리하여 조치 내역과 관련 파일을 기록하고, 이를 Knowledge DB로 활용해 유사 장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SMS, Email, Push 알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장애 정보를 전달하여 즉각적인 대응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통합적인 장애 관리 기능을 통해 Zenius NMS는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며 네트워크 운영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강화합니다. [3] 주요 항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Zenius NMS는 네트워크 성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며, 구성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초 단위로 bps, pps, CPU/MEM 사용률 등 주요 성능 지표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또한, L4 장비의 Virtual/Real Server 세션 정보와 라우팅 테이블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IP/MAC 등)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사전 식별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 SNMP 방식으로 수집되지 않는 항목은 CLI 명령어와 스크립트를 활용해 사용자 정의 항목으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 백업 및 변경 관리 기능을 통해 설정 변경 시 자동 백업과 변경 내역 비교가 가능하여 구성의 신뢰성과 변경 관리의 체계성을 강화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고, 병목 현상이나 구성 오류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운영의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4] 네트워크 보안 및 접근 관리 Zenius NMS는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행정안전부 권고사항(국가 표준 기준)을 기반으로 보안 취약점을 자동 점검하고, 점검 결과에 따라 구체적인 보안 조치 가이드를 제공하여 네트워크 보안성을 강화합니다. 비인가 명령어 실행 차단, 허용된 IP와 시간대 설정을 지원하는 금지 명령어 통제 및 세션 접속 시간 관리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한층 더 강화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장비 접근 기록을 저장하고 조회하며, 작업 내역을 녹화/재생할 수 있는 접근 이력 감사 기능은 철저한 보안 관리와 감사를 가능하게 합니다. 더불어서, 특정 IP에서만 장비 접근을 허용하는 IP 기반 접근 제한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무결성을 유지하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합니다. 이러한 통합적인 보안 관리 기능은 네트워크 운영의 안정성을 높이고 무결성을 유지시켜 줍니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 Zenius NMS만의 장점 IT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네트워크를 포함한 모든 구성 요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데이터 흐름, 리소스 배분, 애플리케이션 성능이 IT 인프라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과 연결성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클라우드, 가상화(VM), 쿠버네티스와 같은 기술의 빠른 확산으로 IT 환경은 더욱 복잡해지고, 구성 요소 간 상호 연관성은 강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복잡성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고 운영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Zenius NMS는 프레임워크 기반 구조를 통해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넘어 IT 인프라 전반의 구성 요소를 통합해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Zenius NMS는 온프레미스뿐 아니라 클라우드, VM, 컨테이너 기반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원합니다. 또한 네트워크와 연관된 서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등을 실시간으로 통합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운영자는 네트워크 병목 현상, 비효율적인 자원 활용, 그리고 성능 저하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애 가능성을 조기에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중단 위험을 줄이고,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실시간 원인 분석 및 대응 프로세스를 통해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인프라 운영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가시성을 제공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IT 환경에서도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서비스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 Zenius NMS 자세히 보기 이와 함께 Zenius NMS는 네트워크 모니터링에 특화된 다양한 장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사용자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Topology Map과 대시보드 기능은 네트워크 구성 요소의 상태와 연결 관계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하여 장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과 대응을 지원합니다. 또한, 실시간 이벤트 필터링과 멀티 슬라이드 쇼 기능을 통해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주요 성능 지표와 장애 상황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Zenius NMS의 운영 요약 View는 주요 네트워크 성능과 상태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며, 엑셀 Export 기능을 통해 체계적이고 신속한 데이터 분석 및 보고를 지원합니다. 그리고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장비별 상세 성능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연결 관계 및 장애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Zenius NMS는 클라우드, 가상화, 컨테이너 환경 등 복잡한 IT 인프라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입니다. Topology Map, SDN 모니터링, 보안 취약점 점검 등 고도화된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합니다.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성공적인 활용 사례를 통해 신뢰성을 입증한 Zenius NMS는 복잡한 IT 환경에서도 믿을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2024.12.24
기술이야기
서버 모니터링 툴, Zenius SMS의 주요기능과 특장점
기술이야기
서버 모니터링 툴, Zenius SMS의 주요기능과 특장점
최근 서버 환경은 온프레미스 시스템에서 가상화, 컨테이너 기반 인프라,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까지 다양해지며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서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의 필요성을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Zenius SMS는 이런 복잡한 환경에서 온프레미스 시스템뿐만 아니라 가상화된 서버, 이중화 구성,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기반 기술까지 폭넓게 지원하며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서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장애를 예측해 빠르게 대응하며, 운영 현황을 분석해 정밀한 리포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IT 인프라 운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높입니다. 서버 모니터링 툴 Zenius SMS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과 차별화된 장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서버 모니터링 툴, Zenius SMS의 주요기능 [1] 가시성 높은 실시간 모니터링 Zenius SMS는 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직관적인 시각화 도구를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입니다. 운영자는 CPU, 메모리, 디스크 사용량 등 서버 자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그래프, 차트, 색상 코드 등으로 시각화해, 서버의 상태나 문제 원인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Topology Map 기능을 통해 서버 구성 요소와 장애 정보를 한 화면에서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복잡한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서버 간 연결 상태와 장애 지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운영자가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Zenius SMS의 오버뷰와 대시보드는 전체 서버의 운영 상태와 장애 상황을 요약해 한눈에 보여주는 화면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운영자는 서버의 전반적인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Zenius SMS는 이러한 기능들로 운영 효율성과 서버 안정성을 동시에 높이고 있습니다. [2] 다양한 항목에 대한 모니터링 Zenius SMS는 서버 운영의 핵심인 리소스 상태 추적과 안정적인 서비스 지원을 위해 다양한 항목에 대한 세밀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CPU, 메모리, 디스크 사용률 등 기본적인 서버 자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성능 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서버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Microsoft 특화 서비스(WPM), Apache 웹 서버 상태까지 확인하여 주요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GPU와 같은 고성능 하드웨어 자원이나 EC2와 같은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포함한 복합적인 서버 환경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며, Docker 컨테이너 자원 사용 현황을 추적하여 현대적인 서버 환경에서도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포괄적인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Zenius SMS는 서버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3] 효율적인 장애 감지 및 관리 Zenius SMS는 서버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장애 예측과 신속한 복구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기능을 통해 안정적인 서버 운영을 보장합니다. 동적 임계치 기반의 장애 예측 기능은 서버 리소스 사용량 변화에 따라 임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잠재적인 장애를 사전에 감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전에 설정된 복구 스크립트를 통해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 작업을 실행하여 다운타임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장애 발생 당시의 서버 상태를 Snapshot으로 기록하고 처리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원인 분석 및 향후 장애 예방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장애 상황은 단문자, 이메일, Push 알림 등 다양한 채널로 운영자에게 실시간 통보되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파일 로그 및 서비스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시스템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장애 관리 기능을 통해 Zenius SMS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버 운영 환경을 제공합니다. [4] 정밀한 분석 및 리포팅 기능 Zenius SMS는 서버 최적화와 운영 의사결정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보고하는 정밀한 리포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요 서버 성능 지표에 대한 정밀 분석 기능을 통해 성능 변화를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성능 비교, 시간대별 분석, 증설 필요성 평가 등 다양한 성능 및 트렌드 분석 도구를 활용해 서버 리소스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정밀히 분석하여 서버 간 통신에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식별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TCP 상태 분석 기능도 제공합니다.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정기 보고서와 성능 보고서 등을 자동으로 생성해 운영 데이터를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이를 통해 Zenius SMS는 서버 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서버 모니터링 툴 Zenius SMS만의 장점은?! IT 환경이 기존 온프레미스를 넘어 클라우드, VM(가상머신), MSA(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등으로 확장되며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서버 관리의 난이도 역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질적인 환경이 공존하면서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거나 다양한 플랫폼 간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나 VM과 같은 동적으로 생성·폐기되는 자원의 특성상 자원 과부하, 네트워크 병목 현상, 비효율적인 자원 배분 등의 문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서비스와 분산 시스템의 확산으로 서비스 간 의존성이 복잡해지면서, 특정 서비스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거나 장애 원인을 추적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Zenius SMS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서버운영을 지원하는 솔루션입니다. Zenius SMS는 온프레미스뿐 아니라 클라우드, VM, 컨테이너 기반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원합니다. 또한 Framework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버와 연관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등을 실시간으로 통합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운영자는 장애 가능성을 조기에 파악하고, 서비스 중단을 예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나 비효율적인 자원 활용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미리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과 대응이 가능해 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운영 전반의 가시성을 확보함으로써 의사결정의 정확성과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복잡한 IT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버 운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일 Manager로 최대 1,500개의 장비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고성능 설계와 C/C++ 기반의 경량 구조도 Zenius SMS의 강점입니다. 이 구조는 서버의 자원 소모를 줄이고, Kernel 수준에서 최적화되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대규모 IT 환경에서도 필요한 장비를 손쉽게 추가하거나 확장할 수 있어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서버 모니터링 툴 Zenius SMS는 대규모 서버 관리 프로젝트를 포함해 약 1,000여 개의 성공적인 구축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GS 인증(1등급) 및 조달청 우수제품으로 지정된 이력은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을 입증하며, IT 인프라 관리 시장에서 가장 신뢰받는 솔루션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24.12.13
기술이야기
웹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솔루션, Zenius APM의 주요기능과 특장점
기술이야기
웹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솔루션, Zenius APM의 주요기능과 특장점
웹 애플리케이션은 이제 단순한 서비스 제공 도구를 넘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은 사용자 경험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매출 증가와 브랜드 신뢰도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트랜잭션 처리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데이터의 양과 복잡성이 더해지면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정교한 성능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Zenius APM은 이러한 복잡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솔루션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와 운영 안정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실시간 모니터링, 심층 분석, 장애 관리와 같은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IT 환경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습니다. Zenius APM이 제공하는 주요 기능과 특장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Zenius APM의 주요기능 [1] 효과적인 실시간 모니터링 Zenius APM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운영자가 시스템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잠재적 문제를 조기에 발견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우선 Zenius APM의 대시보드는 사용자별로 맞춤 설정이 가능합니다. WYSIWYG 방식을 채택하여 운영자가 원하는 모니터링 항목을 직관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는 드래그 앤 드롭으로 모니터링 항목을 배치하고, 데이터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황판을 제작해 각자의 운영 환경에 최적화된 대시보드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Real-Time Topology Map은 트랜잭션의 흐름과 병목 구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응답 시간과 처리량을 색상과 노드로 표시하며, 문제 발생 지점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병목 구간이나 성능 저하가 발견될 경우, 해당 노드를 클릭하여 상세한 분석 화면으로 즉각 이동할 수 있어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Zenius APM이 제공하는 주요 모니터링 항목으로는 트랜잭션 응답 시간과 병목 구간, JVM 힙 메모리와 CPU 사용량, JDBC 연결 상태와 SQL 실행 건수, 동시 접속 사용자 수와 TPS(초당 트랜잭션 처리량)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를 통해 운영자는 성능 최적화와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장애 관리 지원 Zenius APM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장애를 사전에 방지하고, 발생한 장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우선, 장애 정책 기반 이벤트 감지 기능을 통해 서비스 처리량(TPS), 응답 시간, JVM 자원 사용률 등 주요 성능 지표에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임계치가 초과되면 SMS, 이메일, Push App 등을 통해 실시간 경고를 전송하여 운영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Snapshot 분석 기능은 장애가 발생한 시점의 성능 데이터를 Raw 데이터 기반으로 재현하여 문제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장애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향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통합 이벤트 관리 기능은 발생한 이벤트 이력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장애 처리 과정을 명확히 추적할 수 있으며,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합니다. 이벤트 관리 시스템은 처리 상태, 발생 시간, 지속 시간, 장애 유형 등의 세부 정보를 저장하며, 운영자는 이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성능 분석 지원 Zenius APM은 다양한 성능 분석 도구를 통해 운영자가 애플리케이션 성능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주제별 성능 분석은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애플리케이션 분석은 호출 건수, 실패 건수, 응답 시간 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반면, SQL 분석은 데이터베이스 쿼리 호출 빈도, 평균 응답 시간, 실패 건수 등 세부 데이터를 제공하여 비효율적인 SQL 쿼리를 식별하고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품질 이슈 분석은 Exception과 Error 발생 원인을 트랜잭션 데이터와 연관시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자동 연관 분석은 SQL, 애플리케이션, 트랜잭션 데이터를 연결하여 성능 문제의 원인과 연관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간별 증감 추이 비교 기능은 특정 기간 동안의 호출 건수, 응답 시간 등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성능 변화 추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성능 저하의 원인을 식별하고, 구체적인 시스템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4] 사용자 맞춤형 통계 및 보고서 Zenius APM은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 시각화와 보고서 생성을 통해 운영자가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통계 템플릿 기능은 Zenius APM이 제공하는 대표적인 사용자 편의 도구 중 하나로, 방문자 수, 시스템 자원 사용률, 트랜잭션 처리 건수 등 35개 이상의 주요 성능 지표를 기반으로 템플릿을 저장하고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운영자는 빈번히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템플릿화함으로써 반복적인 작업 시간을 줄이고,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은 Zenius APM의 또 다른 강점입니다. 성능 비교, 이벤트 발생 현황 분석, 자원 증설 필요성 평가 등 다양한 보고서를 통해 운영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맞춤형 통계와 보고서는 운영자에게 명확하고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맞춤형 통계와 보고서는 단순한 데이터 시각화 도구를 넘어, 운영자가 운영 상태를 명확히 이해하고 전략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Zenius APM의 특장점 지능형 IT 인프라 통합 관리 솔루션인 Zenius의 핵심 구성 요소인 Zenius APM은 다양한 IT 자원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합니다. EMS Framework를 기반으로 구축된 Zenius APM은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네트워크 등 다양한 인프라를 중앙에서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또한, 하드웨어와 미들웨어를 포함한 이기종 인프라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며, Overview와 Service Map을 통해 시스템 전반의 상호작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서버와 DBMS를 비롯한 IT 인프라 전반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장애의 원인과 영향을 신속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층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지원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운영자는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히 해결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많이 활용되는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솔루션(Zenius K8s)과의 연계를 통해 컨테이너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및 분산 환경에서도 뛰어난 관리 성능을 발휘합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POD와 컨테이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자동 스케일링과 같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능을 통해 변화가 잦은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보장합니다. 또한 Zenius APM은 장애가 발생한 특정 시점(예: 예외 발생 또는 오류 시점)의 애플리케이션 성능 정보를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Raw 데이터 기반의 스냅샷 분석을 활용하여 과거의 실시간 운영 상태를 정확히 복원하며, 이를 통해 문제의 원인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분석 항목과 화면 구성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상황에 맞춘 유연하고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합니다. Zenius APM은 세분화된 장애 심각도 설정과 SMS, 이메일, Push 알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장애 발생을 빠르게 알립니다. 또한, 에스컬레이션 통보 기능을 통해 운영자는 중요한 장애가 누락되지 않도록 관리하며 대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과 인스턴스를 논리적으로 그룹화하여 비즈니스 관점에서 실시간 서비스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인스턴스 관점과 비즈니스 관점의 실시간 듀얼(Dual)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하며, 실제 서비스와 연계된 성능 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Zenius APM은 복잡한 IT 환경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운영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합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장애 관리, 성능 분석, 그리고 사용자 맞춤형 보고서 기능은 운영자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 운영을 실현하며 비즈니스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2024.11.29
회사이야기
일본 최대 규모 IT 전시회를 경험하다 (브레인즈컴퍼니 해외연수단 후기 上)
회사이야기
일본 최대 규모 IT 전시회를 경험하다 (브레인즈컴퍼니 해외연수단 후기 上)
브레인즈컴퍼니는 IT 기술 트렌드 및 글로벌 시장 동향 파악을 위해 주기적으로 '해외연수단'을 파견하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 싱가폴 등 각국에서 열리는 주요 IT 전시회에 참석해 혁신적인 기술과 솔루션을 직접 경험하고 있습니다. 또한 IT 분야의 제품과 서비스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펴보고, 현지 문화를 직접 체험하며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올해 해외연수단의 목적지는 일본! [2024 Japan IT Week Autumn]를 포함해서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하고 돌아온 일본연수단의 후기를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2024 Japan IT Week Autumn]은?! [2024 Japan IT Week Autumn]은 AI, IoT 등 IT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소개하고 IT 트렌드를 공유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IT 통합 전시회입니다. 마쿠하리 메세 국제 컨벤션에서 진행된 올해 전시회는 700여 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했고, 약 4만여 명이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히타치, 후지쯔, NEC, NTT 등 일본의 대표적인 IT 기업들이 참가한 이번 전시회는 AI, IoT, 정보 보안,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IT 분야를 다루는 12개의 전문 전시회로 구성되었습니다. 주요 전시 품목은 클라우드 컴퓨팅, AI, 정보 보안, 데이터센터/스토리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기술,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자동화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올해에는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 기술, 비즈니스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 솔루션, 업무 자동화/생산성 향상/하이브리드 워크 지원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들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전시회 기간 동안 다양한 세미나와 컨퍼런스도 개최되어 최신 기술 동향과 시장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일본 최대 규모 IT 전시회를 경험하다 [2024 Japan IT Week Autumn]를 직접 경험한 일본연수단은 한목소리로 '최신 IT을 통해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라고 말했는데요, 자세한 소감을 들어봤습니다. 서은숙님: IT 모니터링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며, 현지 기업과 우리나라 기업들이 각자의 강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홍보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영업 및 마케팅 측면에서 유익한 인사이트를 얻는 시간이었습니다. 이규영님: 이번 전시회를 통해 브레인즈컴퍼니도 해외에 진출하여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전시된 모니터링 솔루션과 비교했을 때 Zenius는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확신이 들었습니다. 이승현님: 우리와 다른 환경에서 다양한 IT 제품과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Zenius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여러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김정미님: 예상보다 전시회 규모가 커서 놀랐습니다. 오피스 업무에 필요한 자동화, IoT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분야가 인상 깊었습니다. 박계영님: 부스에 앉아있거나 쉬고 있는 사람 없이 밝은 표정으로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설명하며 고객과 소통하는 모습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우리 Zenius도 이런 전시회를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 소개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정희정님: 많은 기업들이 AI를 활용한 업무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인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일본의 일상은 여전히 아날로그적인 요소가 많지만, 업무 자동화 시스템은 매우 세분화되고 폭넓게 적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지환님: 관람객과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고객을 유치하려는 모습이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현지 기업들이 마케팅과 고객응대 전략에서 많은 점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번 [2024 Japan IT Week Autumn] 관람을 통해 최신 IT 트렌드를 직접 경험하며 다양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IT 제품과 서비스가 어떻게 차별화되고 활용되는지를 살펴보며 브레인즈컴퍼니에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아이디어를 얻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일본 연수단은 전시회 관람에 이어서 일본 현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이 이야기는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2024.11.26
회사이야기
브레인즈컴퍼니가 주목받은, BIXPO 2024 생생 후기
회사이야기
브레인즈컴퍼니가 주목받은, BIXPO 2024 생생 후기
한국전력공사가 주최하고 브레인즈컴퍼니가 참가한 'BIXPO 2024'가 지난 11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진행됐습니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한 BIXPO 2024는 '에너지 미래로 향하는 여정'이라는 주제로 국내외를 대표하는 기업들과 기관들이 모여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공유하는 자리였습니다. 이번 BIXPO 2024는 국제컨퍼런스, 국제발명특허대전, 신기술 전시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 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이끌 혁신 기술들을 한눈에 볼 수 있었습니다.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 기회를 제공하여 관련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였습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 주목을 받은 프로그램 중 하나는 신기술 전시회로 브레인즈컴퍼니, 한국전력공사, LS ELECTRIC, 효성중공업, IBM 등 150여 개의 국내외 기업이 참가하여 총 200개의 부스를 운영하며 많은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신기술 전시회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친환경 연료전환을 다룬 '청정성(Carbon-free)' ▲차세대 전력 그리드의 운영 디지털화 및 예방 진단 고도화를 중심으로 한 '안정성(Stability)' ▲건축, 산업, 수송 분야의 효율화를 위한 '효율성(Efficiency)'이라는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각 주제에 맞는 최신 기술과 제품들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시연이 진행됐습니다. 이번 BIXPO에서 브레인즈컴퍼니는 '효율성' 테마에 포함되어 전시부스를 운영하며 Zenius EMS, APM, SIEM, ITSM 등 주요 제품을 소개했습니다. 브레인즈컴퍼니 부스에서 제니우스를 접한 관람객분들은 K8s와 CMS 등 MSA 환경을 비롯해, 멀티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까지 모두 통합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에 큰 관심을 보여주셨습니다. 한 관람객은 "각 지사별 IDC뿐만 아니라 클라우드로 이전한 시스템의 운영 현황까지 파악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했는데, 단일 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인프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제품 기본 화면도 잘 구성되어 있고, 맞춤형 대시보드도 눈에 띈다"라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다른 관람객은 "최근 쿠버네티스 도입 후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Zenius의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 그간의 고민에 대한 답이 담겨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긍정적으로 도입을 검토할 예정이다"라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또한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모두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Zenius CMS에 대한 관심도 높았습니다. 이번 BIXPO에서는 브레인즈컴퍼니와 오랜 관계를 이어온 고객사들도 다수 방문해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10년 이상 Zenius 제품을 사용해 온 한 고객은 "전시회에서 오랜 파트너를 만나 반가웠고, 새롭게 출시된 제니우스의 기능들과 향후 발전 방향성에 대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라고 전했습니다. 브레인즈컴퍼니는 앞으로도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능형 IT 인프라 통합관리 솔루션 제니우스를 알릴 예정입니다.
2024.11.11
기술이야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 도입 시 고려사항 5가지
기술이야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 도입 시 고려사항 5가지
반드시 하나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또는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유연한 확장성과 높은 보안성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성과 보완 요구사항을 통합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성능 저하나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을 도입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간 통합 가시성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AWS, Azure 등) 간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TCP, UDP, HTTP 등)과 장비로 구성되기 때문에 관리가 복잡해집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은 각기 다른 네트워크 요소를 실시간으로 통합하여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가시성을 갖춰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은 각 클라우드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패킷 손실이나 지연, 비정상적인 트래픽이 발생하는 순간 이를 빠르게 감지하고 문제의 위치를 파악해 정확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퍼블릭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될 때 특정 구간에서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구간의 원인을 분석하여 즉각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또한 API 연동을 통해 각 클라우드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하나의 대시보드에 통합하여, 클라우드 전체의 트래픽 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네트워크 지연 문제와 트래픽 최적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 간 물리적 거리와, 여러 네트워크 장치를 거치는 특성상 지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은 트래픽 경로와 성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연의 원인을 파악하고, 최적화된 경로로 트래픽을 조정하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또한 Qos(Quality of Service) 정책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라 트래픽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의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합니다. 클라우드 리전 간 데이터 전송 시에는, AI 기반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선택해 지연 시간을 줄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예기치 못한 트래픽 증가나 장애 상황에서도 대체 경로를 자동으로 탐색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대규모 데이터 전송과 대역폭 관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대규모 데이터 전송이 빈번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데이터 복제, 동기화, 마이그레이션으로 인해 대역폭 사용량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은 대역폭 사용 현황과 트래픽 패턴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특정 시간대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미리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대역폭 관리 기능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몰리는 시간대에 대역폭을 자동으로 재할당하거나, 특정 시간대에 데이터 전송을 예약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데이터 압축과 캐싱을 활용해,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이고 전송 효율을 최적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마다 데이터 전송 비용이 다를 수 있어, 비용 최적화를 위한 경로와 전송 시점을 조정하는 기능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비용이 낮은 시간대를 선택하거나 효율적인 경로를 자동 선택하여, 대규모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보안 및 규정 준수 강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간 빈번한 데이터 이동은 네트워크의 취약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보안 관리가 특히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은 엔드-투-엔드 암호화 기능을 제공하여 이동중인 데이터가 제3자가 내용을 볼 수 없도록 보호하고, 데이터가 무단으로 수정되거나 유출될 경우 즉시 경고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는 퍼블릭 및 프라이빗 네트워크 보안 표준이 각각 다릅니다. 따라서 통합 보안 정책 관리 기능을 통해 일관된 보안 정책 적용을 보장하고, 침입 탐지 시스템 (IDS)와 침입 방지 시스템 (IPS)와 연동하여 보안 위협을 실시간 분석하고 차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규정 준수 또한 중요합니다. 특히 금융, 의료, 공공기관 등에서는 개인 데이터 보호와 같은 엄격한 규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솔루션은 데이터 접근 및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컴플라이언스 상태를 자동으로 평가해 보고하는 기능을 갖춰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의 데이터 보호 규정(GDPR)이나 미국의 의료 정보 보호법(HIPAA) 준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규제 대응에 필요한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네트워크 장애 대응 및 고가용성(HA)설계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각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예기치 못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복구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고가용성(HA)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은 멀티패스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여 리전 내 특정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자동으로 대체 경로를 선택해 트래픽을 우회하여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장애 가능성을 사전에 감지해 경고하는 예측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도 필요합니다. 이 시스템은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 절차를 실행해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중 리전 페일오버 기능도 지원해야 합니다. 리전 전체에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즉시 다른 리전으로 트래픽을 전환하여 운영을 지속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정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 상황에서도 운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리적 이중화 설계도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장애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사후 보고 기능이 중요합니다. 장애 발생 시점과 원인, 영향을 상세히 기록하여 유사한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을 도입할 때는, 앞서 언급한 5가지 요소를 충족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해 클라우드 간 데이터 이동이나 대규모 트래픽 상황에서는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즉각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해 성능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안 관리와 규정 준수를 지원하는 모니터링 기능은, 데이터 보호와 컴플라이언스 요건을 충족하여 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처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모니터링 솔루션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서비스를 지속하게 합니다.
2024.10.29
기술이야기
효과적인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을 위한 6가지 고려사항
기술이야기
효과적인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을 위한 6가지 고려사항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인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는 자동화된 확장성과 자가 복구 기능을 통해 서비스의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와 클라우드 환경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쿠버네티스는 파드(Pod), 노드(Node), 네트워크 등 각 요소가 끊임없이 동적으로 변화하며 상호작용하는 복잡한 구조이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세밀한 모니터링 없이는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효과적인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을 위한 필수 고려사항은 무엇인지 6가지로 나눠서 알아보겠습니다. [1] 파드 및 컨테이너 모니터링 파드(Pod)와 컨테이너는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자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파드와 컨테이너의 상태를 정밀하게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드가 제대로 스케줄링되지 않거나, 컨테이너가 크래시 루프(CrashLoopBackOff) 상태에 빠지면 애플리케이션 성능이 저하되거나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려면 각 파드의 CPU, 메모리 사용량, 네트워크 I/O와 같은 자원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체계가 필요합니다. 특히, 자원 사용량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비정상적인 사용 패턴이나 과부하 상태를 사전에 감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쿠버네티스의 오토스케일링(Auto-Scaling) 기능과 연계된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해 파드가 실시간 트래픽 변화에 맞춰 자동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자원 효율성 측면에서도 유리합니다. 이와 같은 종합적인 모니터링 솔루션은 파드와 컨테이너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사전에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 [2] 클러스터와 노드 상태 모니터링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다수의 노드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으로, 각 노드는 파드(Pod)를 실행하는 주체로서 클러스터 전반의 성능과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각 노드의 CPU, 메모리, 디스크 I/O, 네트워크 대역폭 등 주요 리소스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리소스 과부하나 잠재적 장애를 사전에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드 간 리소스 사용의 불균형은 클러스터 전체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정 노드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리소스 소모는 장애의 전조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PU나 메모리 자원의 지속적인 고갈, 네트워크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 등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지표로, 이를 사전에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각 노드의 메트릭 데이터를 분석하고, 비정상적인 패턴을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솔루션은 클러스터 내 모든 노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리소스 사용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자동화된 경고 시스템을 통해 잠재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관리자에게 즉시 알림을 제공하며, 리소스 사용 추세를 기반으로 한 예측 분석 기능을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3] 네트워크 모니터링 쿠버네티스는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간 통신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복잡한 분산 시스템입니다. 파드 간의 통신 오류나 클러스터 외부와의 연결 문제는 애플리케이션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에, 네트워크 상태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주요 모니터링 지표로는 네트워크 지연(latency), 패킷 손실(packet los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속도와 대역폭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지표들은 애플리케이션 가용성과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서비스 메시(Service Mesh)와 같은 고급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도입한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복잡성이 더욱 증가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 경로를 시각화하고 트래픽 흐름을 분석할 수 있는 고도화된 모니터링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비정상적인 트래픽 패턴이나 병목 현상을 사전에 감지하고, 네트워크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네트워크 모니터링은 전체 클러스터의 안정성과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로그 및 메트릭 수집과 분석 모니터링의 핵심은 적절한 로그와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시스템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습니다. 쿠버네티스는 클러스터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로그로 기록하고, 각 파드, 컨테이너, 노드에서 발생하는 자원 사용량과 성능 관련 데이터를 메트릭으로 제공합니다. 이러한 로그와 메트릭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파드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에러 로그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이 문제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통해 운영자는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성능 저하가 발생할 때 메트릭 데이터를 분석하여 CPU, 메모리, 네트워크 등 리소스 부족이 원인인지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운영자는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시스템 장애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으로 로그와 메트릭 변화를 추적하고 모니터링 솔루션의 경고 알림 기능 등을 활용하면,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5] 자동화 기능과의 긴밀한 연동 쿠버네티스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자동화된 확장과 자가 치유(Self-Healing) 기능으로, 이를 통해 클러스터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된 확장은 클러스터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자원이 부족할 때 자동으로 새로운 파드를 생성하고, 부하를 분산함으로써 성능 저하를 방지합니다. 또한 자가 치유 기능은 장애가 발생한 파드나 노드를 감지하여, 파드를 자동으로 재시작하거나 장애가 발생한 파드들을 다른 건강한 노드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하려면, 모니터링 솔루션이 클러스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원 사용 현황 및 노드 상태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솔루션은 높은 확장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설정이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파드의 자원 부족이 발생하면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적절한 확장 작업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쿠버네티스의 자동화 기능이 성공적으로 활용되려면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솔루션과의 긴밀한 연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6] 보안 및 규정 준수 분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외부 공격에 더욱 취약할 수 있으며, 다양한 보안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위협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을 통해 비정상적인 활동이나 의심스러운 트래픽 패턴을 신속히 감지하고, 보안 정책 위반, 의도치 않은 구성 변경, 혹은 취약점 발견 시 자동으로 경고를 발송하는 보안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컨테이너 이미지의 보안 취약점 분석을 사전에 실시하여 악성 코드나 알려진 취약점으로부터 클러스터를 보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보안 스캔 자동화가 중요합니다. 또한, 클러스터 전반에서 발생하는 모든 활동을 실시간으로 감사(Audit) 및 기록하여 컴플라이언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중앙 집중형 로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감사 로그는 규정 준수를 위한 기본적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보안 사고 발생 시 원인 분석 및 대응을 위한 핵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와 같은 분산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그 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6가지 고려사항을 통해 클러스터의 상태를 세밀하게 추적하고 분석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문제를 미리 발견하고 대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드나 파드의 자원 소모가 비정상적으로 급증할 때 이를 빠르게 인식하고 조치를 취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와 보안 위협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은 전체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체계적인 모니터링 전략을 통해 쿠버네티스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서비스 중단 없이 원활한 운영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2024.10.24
기술이야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5가지 도전과제
기술이야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5가지 도전과제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구성합니다. 단일 클라우드 환경에 비해서 여러 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멀티 클라우드의 일종입니다.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는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환경을 병행하여 활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환경이 퍼블릭이든 프라이빗이든 상관없습니다. 멀티 클라우드는 특히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할 때 하나의 서비스 제공업체에 종속되지 않고, 각 서비스의 특화된 기능을 조합하여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주로 활용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또는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을 일컫습니다. 이 방식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높은 보안성과 퍼블릭 클라우드의 유연한 확장성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안 유지와 규제 준수가 요구되는 민감한 데이터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저장하고, 트래픽의 변동성이 커서 유연성과 확장성이 필요한 서비스는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데이터 보안과 확장성 간의 균형을 유지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레거시 환경에서부터 출발하여 클라우드 전환을 실행한 대부분의 조직들은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개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와 기업 내부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 또는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동시에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몇 가지 도전 과제가 있습니다. 이 과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이 좌우됩니다. 이러한 도전 과제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통합 운영 및 자동화 체계 구축 각 클라우드 환경은 서로 다른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를 하나의 통합된 인터페이스에서 관리하려면 고유한 관리 도구와 API를 통합하고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는 작업이 필수입니다. 또한, 클라우드 간에 워크로드를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일관된 오케스트레이션 체계를 구축해야 하지만, 각 클라우드가 고유의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기술적인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통합 문제는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서도 큰 난제로 작용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오토스케일링(Auto Scaling)이나 리소스 프로비저닝(Resource Provisioning)과 같은 기능은 퍼블릭 클라우드에 특화된 기술로, 이를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따릅니다. 이러한 기술적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쪽 클라우드 환경을 통합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복잡한 기술적 이슈가 제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퍼블릭 클라우드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려면, 각 환경에 적합한 자동화 규칙과 관리 프로세스를 개발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리소스와 시간이 요구되며, 결국 운영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자동화 시스템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운영자의 수동 개입이 필요하게 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관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데이터 관리는 이동성, 일관성, 보존, 거버넌스 등 다양하고 복잡한 과제가 따릅니다. 특히 데이터가 여러 물리적 위치에 분산되어 저장하고 처리되기 때문에 모든 위치에서 일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수정된 데이터가 퍼블릭 클라우드와 즉시 동기화되지 않을 경우,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간의 데이터 이동은 네트워크 성능에 크게 의존합니다.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하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특히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는 이러한 지연이 심각한 성능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최적화하고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 과제이며, 이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면 비즈니스의 신속한 의사 결정과 대응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를 여러 클라우드 환경에 복제하여 관리할 경우,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이 발생할 수 있어 스토리지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려면 철저한 데이터 복제 정책과 함께 효율적인 스토리지 관리 전략을 반드시 수립해야 합니다. 비용 관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유연한 비용 구조를 제공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비용을 책정하기 때문에, 이를 통합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특히 퍼블릭 클라우드는 사용한 만큼 요금을 부과하는 구조라서, 예상치 못한 리소스 사용이나 자원의 과도한 할당이 발생하면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고정된 인프라 유지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두 환경의 비용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통제하지 않으면 예기치 못한 지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질적인 비용 모델을 결합해 장기적으로 비용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습니다. 워크로드의 특성에 따라 어느 환경이 더 비용 효율적인지를 판단하는 리소스 최적화 역시 복잡성을 더하는 요소입니다. 모든 워크로드가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비용 효율적인 것은 아니며,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더 적합한 워크로드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관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성능은 시스템 전반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 간에 데이터 전송 시, 물리적 거리에 따른 네트워크 지연(latency)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지연은 대규모 데이터 처리 애플리케이션이나 실시간 트랜잭션을 요구하는 워크로드에서 치명적인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네트워크 경로 최적화, 지능형 트래픽 관리 및 QoS(Quality of Service) 설정과 같은 고급 네트워크 성능 튜닝이 필요합니다. 또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규모 데이터 전송은 대역폭 제한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네트워크 프로비저닝과 데이터 압축, 캐싱 기법을 적용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시스템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네트워크 장애는 클라우드 서비스 전체에 심각한 중단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 빠르게 복구할 수 있는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장애에 대비하려면 고가용성(HA) 네트워크 설계, 자동으로 장애를 감시하는 시스템, 그리고 멀티패스(multipath) 라우팅 같은 복구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여러 네트워크 계층이 얽혀 있고, 클라우드 시스템 간 상호작용이 복잡하기 때문에, 높은 기술력과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합니다. 보안 및 규제 준수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라는 이질적인 환경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관리하고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보안 위협과 복잡한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이 기술적으로 까다롭습니다. 특히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설정한 보안 정책과 방화벽, 액세스 제어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퍼블릭 클라우드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보안 프로토콜과 방어 체계가 의존해야 하므로, 이 두 환경을 일관되게 통합해 운영하는 것이 매우 복잡합니다.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암호화와 키 관리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각 클라우드 플랫폼이 사용하는 암호화 표준 및 키 관리 프로토콜이 상이할 수 있어 이를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도 중요한 이슈입니다. 또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규제를 준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러나 데이터가 저장된 국가나 지역마다 규제 요구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규정을 충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의 GDPR, 미국의 HIPAA 같은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경우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자가 데이터가 저장하는 위치나 처리 방식을 명확하게 제공하지 않으면 규제 위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주권을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 로컬리티 정책을 엄격하게 설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규제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성공적인 운영은 앞서 설명한 다섯 가지 핵심 과제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해결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클라우드 간의 통합 관리, 비용 효율적인 운영, 그리고 보안 및 규제 준수의 문제는 단순히 기술적 과제일 뿐만 아니라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과 체계적인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2024.10.08
회사이야기
[2024 K-ICT WEEK in BUSAN]에서 큰 호응 얻은 브레인즈컴퍼니
회사이야기
[2024 K-ICT WEEK in BUSAN]에서 큰 호응 얻은 브레인즈컴퍼니
브레인즈컴퍼니가 9월 10일(화)부터 12일(목)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 [2024 K-ICT WEEK in BUSAN] 참가하여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많은 참관객들과 교류했던 생생한 현장의 분위기를 그대로 담아왔습니다! 부산광역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함께 주최한 2024 K-ICT WEEK in BUSAN은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양자정보기술 등을 아우르는 동남권 최대 ICT 행사입니다. 올해는 200여 개의 국내외 기업이 참여하며, 총 489개 부스에서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였는데요. 주목할 만한 프로그램으로는 클라우드 콘퍼런스가 있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 클라우드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또한 양자정보기술, 세미나, AI 교육관, 국내외 바이어 상담회, 기업 투자 상담회(IR 데모데이) 등도 마련되어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특히 올해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가상 전시장이 운영되어, 참관객들이 실제 AI 기술이 적용된 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해 방문객들이 전시장을 편리하게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브레인즈컴퍼니는 이번 대규모 행사에서 전시부스 운영을 통해 Zenius EMS, APM, SIEM, ITSM 등 주요 제품들을 소개했습니다. 다양한 기관과 기업의 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자회사인 에이프리카의 MLOps 솔루션 '치타'와 클라우드 통합 관리 솔루션인 '세렝게티(Serengeti)'도 이번 전시회를 통해 함께 소개됐습니다. 부스를 방문해 준 참가자들 중 몇몇 분은 "서버, 네트워크 등 핵심 IT 인프라를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제품을 찾고 있었다. 분산된 IT 인프라를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을지 오랫동안 고민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찾은 것 같다"라며 좀 더 상세한 자료와 미팅을 요청하셨습니다. 또 다른 참가자는 "현재 오픈소스 모니터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대규모 인프라에서는 리소스 소모가 크고, 디테일한 기능이 부족해서 아쉬움을 느끼고 있었다. 반면 Zenius는 대규모 IT 인프라 환경에도 안정적인 관리와 더 다양한 지표와 고급 기능을 제공해, 보다 효과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 같다"라는 구체적인 소감도 전했습니다. "대시보드가 깔끔하고 직관적이다"라는 참가자들의 반응도 이어졌습니다. Zenius 대시보드는 주요 IT 인프라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고객별 상황과 니즈에 맞춰 제작되어, 많은 참관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번 박람회 기간동안 수백여 명의 기관과 기업 관계자분들이 부스를 방문해 Zenius에 큰 관심을 보여주셨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지역에서 고객들과 직접 소통하며, 더 나은 IT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브레인즈컴퍼니에 대한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2024.09.30
기술이야기
네트워크 모니터링의 4가지 최신 트렌드
기술이야기
네트워크 모니터링의 4가지 최신 트렌드
클라우드와 엣지 컴퓨팅의 확산, 동영상/음악/게임 분야의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장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인프라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데이터 트래픽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나 스니핑(Sniffing) 공격과 같은 보안 위협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잠재적인 위협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장 규모가 올해 29억 1천만 달러에 이른 후, 4년간 연평균 성장률(CARG) 9.7%를 기록하며 2028년에는 42억 1천만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IT 기술과 서비스의 발전에 따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네 가지로 나눠서 살펴보겠습니다. [1]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벤더 종속성을 피하고 비용을 줄이며, 서비스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멀티 클라우드 전략이 많이 채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멀티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각 클라우드 서비스마다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성능이 다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멀티 클라우드의 운영 효율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네트워크 모니터링의 최근의 추세를 살펴보겠습니다. 가시성 높은 통합 대시보드를 통한 관리 복잡한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가시성 높은 통합 대시보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통합 대시보드는 여러 클라우드에 걸쳐 발생하는 트래픽 흐름, 대역폭 사용량, 그리고 네트워크 성능 지표를 한 눈에 보기 쉽게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관리자가 각 클라우드 서비스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쉽게 파악하고 문제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돕고 있습니다. 특히, 통합 대시보드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맵과 성능 히트맵과 같은 세부적인 기능을 통해, 복잡하게 얽힌 클라우드 간의 트래픽 흐름을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멀티 클라우드의 각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 불균형이나 병목 현상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서 관리자가 자신이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지표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 대시보드의 관리자별 맞춤 설정 기능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복잡한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하나의 화면에서 리전별 트래픽, 네트워크 지연시간, 패킷 손실율 등 본인이 원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AI와 머신러닝을 통한 자동화된 분석 및 대응 AI와 머신러닝 기술이 적용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도 멀티 클라우드 운영 효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선 멀티 클라우드 환경의 네트워크는 멀티 클라우드 환경은 다양한 변수로 인해 네트워크 문제가 예측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AI와 머신러닝 기술은 클라우드 간의 네트워크 상관관계, 트래픽 패턴, 대역폭 사용량, 성능 지표를 등을 학습하여 성능 저하나 장애의 잠재적 원인을 탐지하고 빠르게 알리고 있습니다. 또한 AI를 통해 실시간 트래픽 경로 분석하여 병목 현상이 발생하거나 리소스가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동적으로 VLAN 설정을 변경하거나, 트래픽을 다른 클라우드 인스턴스로 우회시키는 등의 자동화된 대응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네트워크 트래픽의 실시간 변화에 맞춰 QoS(서비스 품질) 정책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즉시 차단하거나 제한하는 등의 대응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자동화된 조치는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높이고, 관리자의 개입 없이도 실시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시스템의 확장성 및 유연성 강화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클라우드 리소스가 추가되거나 기존 리소스가 제거되면서, 네트워크의 구성과 요구사항이 빠르게 변동됩니다. 따라서 높은 유연성을 바탕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습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내에서 새롭게 배포되는 서버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동적인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관리자가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나 리소스에 맞춤형 모니터링 설정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클라우드 환경의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할 때, 해당 환경에 맞춘 모니터링 템플릿을 유연하게 구성하고 배포할 수 있는 기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연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규정 준수 및 거버넌스 모니터링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규제를 준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네트워크 트래픽, 접근 로그, 보안 이벤트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잠재적인 규정 위반을 탐지하고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규정 준수(Compliance) 모니터링은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한 클라우드가 유럽에 위치하고 있어 GDPR(유럽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을 준수해야 하고, 다른 클라우드는 미국의 규제에 따라야 할 때,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각 클라우드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보안 이벤트와 접근 로그를 추적하고, 잠재적인 규정 위반을 사전에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버넌스 모니터링 측면에서는 클라우드 간의 데이터 관리와 접근 통제 정책이 일관되게 적용되도록 지원합니다.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다양한 클라우드 제공자 간에 민감한 데이터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 권한을 관리하고 비인가된 접근 시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기능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데이터 유출 위험을 줄이고, 여러 규제와 거버넌스 요구 사항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 [2]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모니터링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은 네트워크를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입니다. 전통적인 네트워크는 스위치나 라우터 같은 네트워크 하드웨어 장치가 데이터의 전달 경로와 방식을 스스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각 장비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다 보니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고, 특히 대규모 네트워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반면, SDN에서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중앙 컨트롤러(제어 평면, Control Plane)가 데이터의 전달 경로와 방식을 통합하여 결정하고 하드웨어 장치들은 이 결정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수행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구성을 변경하거나 최적화하기가 쉽고, 대규모 네트워크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중앙 컨트롤러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해킹을 당할 경우 네트워크 전체가 마비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SDN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실시간 데이터 분석은 네트워크 환경이 계속해서 변화하는 SDN의 특성상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SDN에서는 스위치, 라우터, 케이블 등 네트워크 하드웨어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적 상태'와, 중앙 컨트롤러가 설정한 네트워크 경로와 적용된 정책을 의미하는 '논리적 상태'를 모두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물리적 상태와 논리적 상태를 추적하기 위해, 네트워크 지연 시간, 트래픽 흐름, 패킷 손실, 대역폭 사용량, 링크 상태와 같은 다양한 성능 지표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관리자가 잠재적인 문제나 성능 저하를 조기에 감지하여,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조치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빠르고 자동화된 대응 지원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네트워크 주요 데이터에 대한 수집과 분석에서 그치지 않고, SDN의 컨트롤러와 연계하여 빠르고 자동화된 대응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 트래픽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모니터링 시스템이 이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SDN 컨트롤러를 통해 특정 트래픽을 다른 경로로 자동 분산시킵니다. 링크 장애가 발생하면 모니터링 시스템은 즉시 대체 경로를 설정하여 트래픽이 끊기지 않도록 조치하며, 문제가 해결되면 다시 원래의 경로로 트래픽을 재배치하는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처럼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과 SDN 컨트롤러와의 연계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의 개입 없이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더욱 진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보안이 강화된 모니터링 앞서 살펴본대로 SDN은 네트워크 제어를 중앙집중식으로 처리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앙 컨트롤러의 보안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SDN 환경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사전에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강화된 보안 기능을 필수적으로 갖춰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트래픽 흐름, 의심스러운 로그인 시도, 네트워크 장치 간의 비정상적인 통신 행위 등에 대한 탐지가 가능합니다. 또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과 SIEM(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 시스템), IPS(침입 방지 시스템), IDS(침입 탐지 시스템)의 통합이나 연계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분산형 SDN 컨트롤러 모니터링 SDN 환경에서 중앙 컨트롤러 하나에 의존하는 방식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많은 네트워크 운영자들이 분산형 SDN 컨트롤러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분산형 컨트롤러는 각기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도 상호 간에 정보와 상태를 동기화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영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최근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컨트롤러의 상태와 성능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컨트롤러 간 협력 상태를 감시하여 과부하나 장애 발생 시 즉시 다른 컨트롤러로 트래픽을 자동 분산하거나 대체 컨트롤러를 할당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산된 컨트롤러 간의 상태 동기화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동기화 문제로 인한 비효율적인 경로 설정이나 보안 취약점을 방지하고,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경고 및 자동 수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장애 복구와 복원 기능 또한 필수적으로 강화되어, 장애 발생 시 대체 컨트롤러가 즉각적으로 운영을 이어받고, 문제가 해결된 후에는 트래픽을 원래 컨트롤러로 복원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엣지컴퓨팅 환경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은 데이터를 중앙의 대형 데이터센터나 클라우드 서버에서 처리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나 그와 가까운 위치에서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IoT 기기, 자율주행차, 또는 공장 내의 다양한 장비들이 데이터를 스스로 처리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중앙 서버나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고,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엣지 디바이스들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위치가 분산되어 있고, 시스템이 유연하게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 맞춰 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엣지컴퓨팅 맞춤형 네트워크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엣지 노드별 모니터링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는 엣지 노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감지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엣지 노드에 경량화된 에이전트를 배치하거나 에이전트리스 모니터링 방식 등을 활용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엣지 노드의 주요 상태(네트워크 대역폭 소비, 지연 시간 등)를 정확히 분석하고, 비정상적인 상태를 감지하면 중앙 서버에 즉시 알림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때 엣지 노드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대역폭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샘플링을 통해 필수적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데이터 필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고 전체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면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AI/ML 기반의 자동화된 대응 엣지 컴퓨팅의 특성상 문제 발생 시 네트워크 운영자가 모든 노드에 직접 접근해 수동으로 대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따라서 운영자의 개입 없이도 엣지 디바이스가 문제를 자율적으로 감지하고 해결할 수 있는 자동화된 대응 시스템이 중요합니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에도 자동화된 대응 기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자동화된 대응 시스템은 네트워크 모니터링과 관리의 자동화를 통해 분산된 엣지 노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AI 및 ML 기술이 이러한 자동화된 대응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트래픽 흐름과 비정상적인 트래픽 흐름을 구분하기 위해 각 노드의 트래픽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상시 패턴과 다른 변화를 신속히 감지하고, 이때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트래픽 차단, 리소스 재분배, 또는 네트워크 경로 변경 등의 대응 조치를 자동으로 실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체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확장에 대한 원활한 지원 5G 네트워크의 확산과 IoT 디바이스의 확산등으로 엣지 노드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각 노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양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더 많은 노드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며, 노드 간 상호 연결성을 포함해 분산된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일관된 성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새로운 엣지 노드가 네트워크에 추가될 때마다 별도의 수작업 설정 없이 자동으로 노드를 인식하고, 모니터링을 즉시 시작할 수 있도록 기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 스케일링 기능을 통해 엣지 노드가 증가하면 모니터링 시스템의 리소스를 동적으로 확장하여, 성능 저하 없이 모든 노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4] 네트워크 보안 강화 네트워크 모니터링 분야에서 '보안'은 항상 중요한 주제였지만,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빈번한 보안사고 등으로 인해 그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보안 강화와 관련한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의 확산 "절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는 원칙에 기반한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은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와 장치의 접근을 철저히 검증하는 접근법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해 기업 네트워크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제로 트러스트 모델을 올바르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모든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활동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는 기존 보안 시스템이 단순히 알려진 위협을 차단하는 것에 그쳤다면, 제로 트러스트 모델에서는 잠재적인 위협까지도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최근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보안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은 평소와 다른 사용자 행동 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조기에 차단하고 있습니다.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의 부상 SASE는 네트워크와 보안 기능을 통합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하는 혁신적인 보안 모델입니다. VPN,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 데이터 손실 방지 등을 하나의 통합 솔루션으로 제공하며, 특히 외부에서 중앙 데이터센터로의 안전한 접근을 보장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SASE는 전통적인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어디서든 동일한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SASE의 핵심은 네트워킹과 보안 기능을 통합하여, 기업이 네트워크와 보안을 하나의 솔루션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SASE를 도입하면 방화벽, 클라우드 접근 보안 브로커(CASB), 보안 웹 게이트웨이(SWG) 등 다양한 보안 기능을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어, IT 팀이 더 효율적이고 일관된 보안 정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SASE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진화시켜, 다양한 보안 기능(예: 방화벽, CASB, 보안 웹 게이트웨이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가시성을 높이고, 비정상적인 활동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지며, 궁극적으로 조직의 보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XDR(Extended Detection and Response) 도입 XDR은 전통적인 EDR(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을 확장하여,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서버, 클라우드 환경 등에서 발생하는 보안 위협을 통합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하는 기술입니다. XDR은 다양한 보안 도구와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안 운영 팀이 위협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XDR을 활용하려면 상당한 초기 비용이 들고 관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XDR 전문 관리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도 단순히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것에서 나아가, XDR 전문 관리 솔루션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통합된 보안 운영과 모니터링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은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보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며, 이를 XDR 솔루션과 통합하여 종합적인 보안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 속도를 높이고, 더욱 정교한 보안 전략을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멀티 클라우드와 SDN,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은 가시성, 유연성, 그리고 자동화된 대응 능력을 갖춘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된 분석은 네트워크 성능 저하나 장애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발전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을 통해 기업은 더욱 복잡해지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잠재적 위협을 신속히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2024.09.23
1
2
3
4
5
6